본문 바로가기

스포츠/류현진 등판, mlb

사이영상 상금, 발표일, 역대수상자 정리

오늘은 사이영상에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이영상의 시초인 '사이 영'선수의 기록과 사이영상 탄생(제정) 목적, 사이영상 발표와 상금, 역대 사이영상 수상자들까지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선수시절 사이 영(1867년 출생~1955년 사망)

메이저리그 투수들에게 최고의 명예이자 업적이기도 한 사이영상의 시초는 덴튼 트루 "사이" 영(Denton True "Cy" Young)에 의해 탄생했습니다.

정확히 말해 위대한 업적을 남기고 사망한(1955년) 사이 영 선수를 기리기 위해 당시 메이저리그 수장인 포드 프릭에 의해 '사이영상'이 제정되었습니다.

1956년 부터 위대한 투수인 '사이 영'의 이름을 따서 매년 최고의 활약을 펼친 투수에게 '사이영상'을 수상하게 되었습니다.

 

▶ 사이 영 선수의 현역 기록 요약

 

통산 511승(통산 2위 417승, 윌터 존슨), 역대 최다 7355이닝, 최다 선발출장 815경기, 최다 완투 749경기, 완봉승 76회(역대 1위 110회, 윌터 존슨), 퍼펙트 1회, 노히트 노런 3회, 통산 최다 타자 상대 29567회, 연속 이닝 무안타 25.2이닝,통산 최다패 316패

 

통산 500승 이상이면 선발로 20년 동안 등판한다고 가정하면 20살에 데뷔해서 40살까지 매년 꾸준히 25승을 기록하고 은퇴해도 11승이 모자라겠네요...   

 

▶ 댄튼 영(Denton Young) -> 사이 영(Cy Young) 개명(?) 이유

 

1. 1889년 마이너리그 팀 입단테스트에서 던진 속구가 포수 뒤 보드판을 박살내서 사이클론(Cyclone)이 휩쓸고 지나간 것 같아서 줄여서 별명으로 '사이 영'으로 불림

 

2. 스피드 건이 없던 시절에 그의 속구가 너무 빨라 사이클론처럼 빠르다는데서 유래

실제로 사이 영 선수를 포함해 당시 구속이 빠른 몇몇 선수들(아모스 루시, 주엣 미킨 등)때문에 사이 영의 프로데뷔 2년 후 부터 투수판 거리를 15미터에서 18.44미터로 늘렸다고 함

 

3. 당시 시골촌뜨기를 사이(Cy)라고 불렀는데 시골출신인 오하이오 농부의 아들인 그에게 단순히 사이 영이라는 별명으로 불렀다는 설도 있습니다.

 

명예의 전당에 등록된 사이 영

특이하게 메이저리그 사무국에서도 '사이 영' 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별명이자 애칭인 사이 영은 그의 이름이 되어버립니다.

 

메이저리그의 전설 베이브 루스

또다른 메이저리그 전설인 베이브 루스(George Herman Ruth, Jr.) 또한 원래 이름은 조지 루스인데 데뷔 초반 가공할 장타력과 피칭을 선보여서 기자들 사이에서 베이브(Babe)라는 애칭으로 불리면서 '베이브 루스'(또는 베이비 루스)로

사람들에게 애칭 또는 별명으로 불리던 이름이 본명으로 각인되었습니다.  

 

2018년 수상자 제이콥 디그롬과 2009년 수상자 잭 그레인키

매년 사이영상으로 선정된 선수에게 전해지는 사이영상 상패입니다.

수상자의 이름과 해당 연도가 새겨져 있습니다.

 

▶ 사이영상 수상 발표 및 개요

 

수상 자격을 판단하는 투표단은 미국 야구기자협회의 기자들로 구성

60명의(AL 28명, NL 32명) 기자단 투표로 선정

기자단 평가 점수 공식

<<총점 = 5F + 3S + T (F는 1위표이며 S는 2위표, T는 3위표)>>

투표는 정규시즌이 끝나고 이루어지므로 포스트시즌 성적에는 영향이 없으며

발표일은 정확히 지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매년 포스트 시즌(=월드시리즈)이 끝나고 보통 11월 초, 중반쯤에 발표함

1956년부터 1966년까지는 양대리그 전체에서 한 명의 투수에게만 수여

포드 프릭의 은퇴 후 1967년부터는 아메리칸, 내셔널 각 리그당 한 명씩 총 2명 수여

 

1965년 사이영상 수상자인 'LA 다저스의 전설' 샌디 쿠팩스

▶ 사이영상 수상자 상금

 

많은 분들이 사이영상 상금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데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별도의 상금은 없고 개인은 물론 소속팀의 '명예'와 '영광'을 얻게됩니다.

다저스의 경우 커쇼 이전 3차례 수상자인 '다저스의 전설' 샌디 쿠팩스와 해설자로 친숙한 오렐 허샤이저(1차례)도 현재는 물론 미래의 다저스 팬들에게도 명예로운 '사이영상 수상자'로 기록되는 영광을 누리게 되겠죠.

 

2013년 2번째 사이영상을 수상한 커쇼

상금은 없지만, 커쇼의 경우 19년 다저스와의 연장 계약 당시 옵션으로 사이영상 수상시 150만 달러(2,3위 득표시 50만 달러)를 받을  있는 조항을 넣어 계약을 했기 때문에 '돈'과 '명예'를 모두 얻게 될 수 있습니다.

커쇼 이외에도 '사이영상 수상 가능성'이 있는 에이스급 투수들도 일반적으로 옵션으로 사이영상 수상시 별도의 보너스 금액을 지정해 계약을 체결합니다.

 

▶ 사이영상 2회 이상 수상 선수들

 

2회 이상 사이영상 수상자 명단

2차례 이상 사이영상을 수상한 선수들입니다.

노란색으로 색인된 선수들은 현역 또는 현역 복귀(요한 산타나, 팀 린스컴)를 희망하는 선수들입니다.

로저 클레멘스의 7회 선정 기록은 '사이 영' 선수도 부러워할 정도로 당분간 깨지지 않을 기록이네요.

LA다저스의 전설 샌디 쿠펙스 선수의 경우 유일하게 양대리그에서 1명만 수상하는 1967년 이전의 선수이기때문에 3회 수상 이상으로 가치있는 기록으로 보입니다.

 

▶ 내셔널리그 역대 사이영상 수상자들(2000년 이후)

 

내셔널리그 사이영상 수상자들

2000년 이후 사이영상 수상 선수들로 요약했습니다.

다저스의 최강 마무리 투수였던 에릭 가니에 선수가 유일하게 마무리 투수로 2003년 사이영상을 수상했습니다.

류현진 선수와 사이영상 후보로 거론되고있는 맥스 슈어저 선수도 16,17년(13년 아메리칸 리그소속 수상) 2년 연속 사이영상을 수상했습니다.

제이콥 디그롬 선수의 경우 2018년 역대 선발투수 중 최소승(10승)으로 사이영상 투수로 선정 되었는데요 마무리 에릭 가니에 선수를 제외하면 2000년 이후 최저 방어율(1.7)을 기록한 것이 가장 큰 수상 선정의 이유인 것 같습니다.

 

▶ 아메리칸리그 역대 사이영상 수상자들(2000년 이후)

 

아메리칸리그 사이영상 수상자들

2000년 이후로 요약했지만 전체적으로 내셔널리그 투수들보다 방어율이 조금 높아보이는데요 아무래도 투수가 타석에 나서는 내셔널리그보다 지명타자 제도가있는 아메리칸리그의 특성때문이라고 보여집니다.

NL에서는 3점대 방어율 수상자는 단 1명(06년, 브랜든 웹)이지만 AL에선 5명(01,03,05,07,16년)이나 수상한 것을 보면 차이를 짐작케 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을 꾹 눌러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